주택임대차보호법상 계약기간 및 중개보수 부담
질문:
(1) 주택임대차보호법에 계약기간이 24개월입니다.
(2) 12개월 계약 시 법적보호는 보장할 수 있는지요?
(3) 중개보수 부담은 임차인, 임대인 중 어느 쪽인가?
답변:
(1) 주택임대차보호법 제4조 제1항은 “기간을 정하지 아니하거나 2년 미만으로 정한 임대차는 그 기간을 2년으로 본다”고 규정하고 있습니다. 따라서 주택임대차보호법상 임대차계약의 최단기간은 2년입니다.
(2) 12개월 계약 시 법적보호는 보장될 수 있습니다. 주택임대차보호법 제10조는 “이 법에 위반된 약정으로서 임차인에게 불리한 것은 그 효력이 없다”고 규정하고 있습니다. 따라서 임대차기간을 1년으로 정한 약정이 임차인에게 불리하다면 이는 무효가 되며, 임차인은 2년간의 임대차기간을 주장할 수 있습니다.
(3) 중개보수는 특별한 약정이 없는 한 중개행위의 양 당사자로부터 받을 수 있습니다. 따라서 임대인과 임차인 양측으로부터 받을 수 있습니다.
결론:
주택임대차보호법상 임대차계약의 최단기간은 2년이지만, 12개월 계약 시에도 법적보호를 받을 수 있습니다. 임대차기간을 1년으로 정한 약정이 임차인에게 불리하다면 이는 무효가 되며, 임차인은 2년간의 임대차기간을 주장할 수 있습니다. 또한, 중개보수는 특별한 약정이 없는 한 중개행위의 양 당사자로부터 받을 수 있습니다.
추가 설명:
(1) 주택임대차보호법상 임대차계약의 최단기간이 2년인 이유는, 임차인의 주거 안정을 도모하기 위함입니다. 1년의 임대차계약은 임차인이 2년마다 이사를 해야 하는 불안정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.
(2) 임대차기간을 1년으로 정한 약정이 임차인에게 불리하다는 판단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.
- 임차인이 임대차기간을 1년으로 정한 것에 대한 합리적인 이유가 있는지 여부
- 임대차기간을 1년으로 정한 것이 임차인의 주거 안정을 해칠 우려가 있는지 여부
(3) 중개보수의 부담에 관한 특별한 약정이 없는 경우, 중개보수는 중개행위의 양 당사자로부터 받을 수 있습니다. 중개보수는 중개인의 수수료로서, 중개행위의 결과에 관계없이 받을 수 있습니다.
예시:
- 임차인이 임대차기간을 1년으로 정한 것은 임대인과의 친분 관계 때문이라고 한다면, 이는 임차인에게 합리적인 이유가 있는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.
- 임대차기간을 1년으로 정한 것이 임차인의 주거 안정을 해칠 우려가 있다면, 이는 임차인에게 불리한 약정으로 볼 수 있습니다.
계약기간 1년이 유리할까? 아니면 10년이 유리할까?
상가 임차인에게 계약기간을 1년으로 설정하는 것이 유리한지, 아니면 10년으로 설정하는 것이 유리한지는 임차인의 상황과 목적에 따라 다릅니다. 다음은 각 기간의 장단점을 비교한 것입니다.
blog.officemagazine.co.kr
계약기간이 남아있는 경우 보증금 반환 가능한가요?
질문: 현재 서울시 소재 빌딩 지하1층 상가를 월세 100만원에 1억의 보증금과 함께 1년 동안 임대하고 있는데, 사업상의 사정으로 인해 계약을 중도 해지하고 싶습니다. 이 경우 보증금을 반환받
blog.officemagazine.co.kr
주택임대차보호법상 계약기간 및 중개보수 부담
주택임대차보호법상 계약기간 및 중개보수 부담 질문: (1) 주택임대차보호법에 계약기간이 24개월입니다. (2) 12개월 계약 시 법적보호는 보장할 수 있는지요? (3) 중개보수 부담은 임차인, 임대인
blog.officemagazine.co.kr
상가건물임대차계약의 계약기간과 월세
상가건물임대차계약의 계약기간과 월세 질문: 상가건물임대차보호법 적용이 안 되는 4억 원 초과 상가입니다. 그런데 임대인이 계약을 3년으로 하되, 2년 후에 월세를 올린다고 합니다. 계약기
blog.officemagazine.co.kr
임대차 계약기간, 2년 보장받을 수 있어요?
제목: 임대차 계약기간, 2년 보장받을 수 있어요? 내용: 임대차 계약을 체결할 때, 임대차 계약기간은 임대인과 임차인이 자유롭게 정할 수 있습니다. 하지만, 주택임대차보호법에서는 임대차 계
blog.officemagazine.co.kr
'부동산 Q&A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비주거용 건물의 주거용 개조와 주택임대차보호법 적용 여부 (0) | 2023.10.26 |
---|---|
주택임대차보호법상 임차인의 승계계약 거절권 (0) | 2023.10.26 |
전세금 인상, 법적 보호 방법은? (0) | 2023.10.26 |
오피스텔 경매, (현)임차인이 낙찰받을 수 있을까요? (0) | 2023.10.26 |
임차인이 주민등록을 일시적으로 이전한 경우, 1순위 자격 유지 가능할까요? (0) | 2023.10.26 |